본문 바로가기

교육BOX/수험생을 위한 지침서

2019 수능 국어 31번 과학문제?

2019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이났습니다. 항상 수능 뒤에는 시험에 대한 난이도와 어려웠던 문제가 큰 이슈가 되곤합니다. 올해에는 많은 수험생들이 첫교시에 치뤘던 국어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국어지문 중 몇번 문제가 수험생들의 체감난이도를 더 끌어올렸는가 살펴보니 주범은 31번문제 과학지문 비문학이였습니다.

사진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많은 수험생들은 이게 국어문제인지 과학문제인지 헤깔렸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였습니다.

이 문제는 천문학 개혁 과정을 다룬 지문 한 페이지를 다 읽고 만유인력에 대한 그래픽과 제시문을 해석해야하는 문제였습니다. 만유인력의 개념을 잘 알지 못하는 수험생들은 아무래도 체감상 더 어렵게 다가왔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간단하게 만유인력에 대한 개념을 집고 넘어가자면 두 물체 사이에서 당기는 힘인 인력이 존재하는데 이 두 힘의 크기를 알기 위해서 만유인력의 법칙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지문에서 질점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질점은 부피는 없지만 질량은 있는 점을 말하며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지만 물리학적으로 공식을 만들때 쓰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문과생의 경우 이런 과학용어들이 생소하고 개념을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럼 이 문과생들은 이 문제를 포기해야합니까? 


하지만 이런 과학지문이 나온다고해서 손놓고 틀릴 수만은 없습니다! 이런 31번문제를 맞추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으로 노력을 해야할까요?


고3이 되는 예비고3들은 하루 2지문씩 하드한 지문을 풀고 분석하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문제를 풀고 분석할 때 정답이 되는 근거를 꼭 찾아서 기억해야합니다! 글을 쓴 필자는 왜 이런 순서로 글을 구성했을지 문단을 이어주는 키워드는 무엇인지 자신만의 비문학지문 푸는 방법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이런 과학지문이나 사실을 기반으로하는 지문은 용어가 낯설어서 체감상 난이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글을 모두 이해하고 풀기보다는 문제가 요구하는 답을 찾는 방식으로 지문에서 정답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문제를 풀기도 전에 지문을 읽기도 전에 겁을 먹고 두려워하면 절대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최대한 냉정하게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대담하게 풀어야합니다. 이런 자신감을 위해서는 나만의 풀이법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시간에 많은 절대적연습량이 필요합니다. 예비고3 이라면 아직 시간은 충분합니다. 


2019년 수능은 끝이났고 과거가 되었습니다. 수능을 본 고3은 수시와 원서영역에 집중할 때이고 예비고3은 올해 수능을 분석해서 남은 1년의 큰 그림을 그릴때가 되었습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해봅시다!